동국대학교 교정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는 개소 10주년을 기념하여 오는 2025년 9월 20일(토),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163호 멀티미디어 강의실에서 제29차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대한시대 한국철학자들의 불교철학과 분황 원효 인식」으로, 한국 근현대 철학사에서 불교철학과 원효사상 연구의 계보를 학문사적 차원에서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인문학사가 전통학(傳統學), 수입학(輸入學), 시비학(是非學), 창조학(創造學)의 단계를 거쳐 전개되어 온 흐름 속에서, 근대 이후 대한시대(1897~남북통일)의 한국 철학자들이 원효를 어떻게 이해하고 계승했는지를 탐구하는 자리다. 특히 20세기 이후 서양철학이 국학으로 자리 잡은 현실에서, 불교철학과 원효철학을 연구한 사상가들의 궤적을 재조명함으로써 한국철학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기조발제는 이정우 소운서원 원장이 맡아, 「20세기 한국 철학에서의 현상학과 불교의 대화: 신오현, 고형곤, 김형효」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이 발제는 하이데거와 선(禪)의 접점을 탐색했던 고형곤(19062004), 동서양 철학의 소통을 추구하며 한국철학의 지평을 넓힌 김형효(19402018), 그리고 서양철학을 극복하고 한국철학적 사유를 모색했던 신오현(1938~2021)의 불교 및 원효 인식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어지는 분과 발표에서는 △김원명(한국외대 철학과)이 「뇌허 김동화의 분황 원효 인식」을, △박서연(만문대장경연구소)이 「효성 조명기의 분황 원효 인식」을, △이병욱(고려대 철학과)이 「보현 박성배의 분황 원효 인식」을 각각 발표한다. 제2부에서는 △고영섭(동국대 불교학과)이 「불연 이기영의 분황 원효 인식」을, △명계환(동국대 불교학과)이 「현주 허영호의 분황 원효 인식」을 발표한다. 각 발표는 동국대 및 관련 연구기관 소속 학자들의 논평과 함께 심화 논의가 진행된다.

현주 허영호(19001952), 뇌허 김동화(19021980), 효성 조명기(19051988), 불연 이기영(19221996), 보현 박성배(1933~ )는 모두 20세기 한국 철학사에서 원효를 사상적 모델로 삼고 연구를 전개한 대표적 인물들이다. 이들은 원효 관련 논문과 저술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였을 뿐 아니라, 수행적 삶을 병행하면서 사유와 실천의 결합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계불교학연구소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고중세의 국학이었던 불학, 근세의 국학이었던 성리학, 그리고 20세기 이후 국학이 된 서양철학이라는 흐름 속에서 대한시대 한국철학자들의 원효 인식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철학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기획은 “동서와 남북을 횡단하는 21세기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집중적으로 모색하는 연구소의 장기적 프로젝트와도 궤를 같이하며, 원효 사상 연구의 내포를 심화하고 외연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대회는 당일 오후 1시 개회식을 시작으로 종합토론과 폐회식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관련 연구자와 일반 참석자 모두에게 개방된다.

■주제별 발표 소개

(13:00-13:10) 개회사 _ 소장

(13:10-13:50)

기조발제 _ 20세기 한국 철학에서의 현상학과 불교의 대화: 신오현, 고형곤, 김형효 _ 이정우 (소운서원 원장)

제1부: [사 회]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3:50-14:40)

[발 표1] 뇌허 김동화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1 : 김원명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논 평 1 : 김영진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14:40-15:30)

[발 표2] 효성 조명기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2 : 박서연 (만문대장경연구소)

논 평 2 : 이인석 (청동스님, 한마음선원)

(15:30-16:20)

[발 표3] 보현 박성배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5 : 이병욱 (고려대 철학과 외래교수)

논 평 5 : 김영일 (동국대 불교학술원 초빙교수)

휴식 : 20분

제2부 [사 회]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6:40-17:30)

[발 표4] 불연 이기영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4 : 고영섭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논 평 4 : 최건업 (동국대 불교학과 외래교수)

(17:30-18:20)

[발 표5] 현주 허영호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3 : 명계환 (동국대 불교학과 외래교수)

논 평 3 : 김은영 (동국대 K학술확산연구소 초빙교수)

(18:20-19:10)

[종합토론]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9:10-19:15)

폐회사 _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