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장남' 노재헌 주중대사·'러시아통' 이석배 주러대사 내정(종합2보)
韓中수교 등 '노태우 북방정책' 배경 작용한 듯…"한중교류 도움될 전문가" 평가도

일각선 과거사 문제 등 우려…中외교부 "韓대사 정식 지명 기다리고 있다"

X
주중대사 노재헌(왼쪽)·주러대사 이석배 내정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정성조 특파원 김지연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첫 주중대사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 노재헌(60) 재단법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노 이사장을 중국대사로 낙점하고 실무 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노 이사장은 지난달 말에도 박병석 전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박정 의원과 함께 이 대통령의 특사단으로 중국을 방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내는 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바 있다.

노 이사장을 내정한 배경에는 노 전 대통령이 과거 재임 시절인 1992년 한중수교를 맺는 등 이른바 '북방정책'에 힘써왔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을 앞둔 지난달 20일 경기 파주 통일동산에 위치한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며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당시 초심을 지키기를 원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노 이사장 자신도 2016년 중국 청두시 국제자문단 고문을 맡는 등 한중 교류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여 왔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알려진 것 이상으로 중국에 대한 전문성을 쌓아왔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도 한중관계 개선에 적임자라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노 이사장이 정통 외교관 출신이거나 정권의 핵심부에서 활동해 온 인사는 아니라는 점에서 예상 밖의 인선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나아가 일각에서는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행위들에 대한 여론의 반감이 적지 않은 데다, 최근 검찰이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인선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올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이 거론되는 등 한중 양국이 최고위급 교류에 시동을 걸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신임 주중대사 내정 문제에 관해 직접적인 입장 표명을 피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노재헌 이사장의 주중대사 내정에 관한 입장 및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사전 동의) 진행 상황에 관한 연합뉴스의 질의에 "우리는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며 "사절은 국가와 국가 간 우호 협력 관계 발전의 중요한 교량으로, 중국은 한국의 정식 지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답했다.

주중 한국대사는 올해 1월 정재호 전임 대사가 이임한 뒤 7개월 넘게 공석 상태다. 현재 대사관은 정무공사의 대사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작년 10월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정재호 전 대사의 후임 주중대사에 내정했고, 중국 정부로부터 아그레망까지 받았으나 김대기 전 실장의 주중대사 취임이 이뤄지지 않은 채 비상계엄 사태와 윤 전 대통령 탄핵, 이재명 정부 출범이 이어졌다.

이재명 정부의 첫 주러대사로는 러시아 전문가인 이석배 전 주러대사가 내정됐다.

러시아를 담당하는 구주 2과장과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총영사, 주러시아 공사,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 등을 거쳐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2022년 주러대사를 지내는 등 외교관 경력 내내 러시아 업무를 맡았다.

과거 정상회담에서 러시아어 통역을 맡을 정도로 현지어 구사 능력이 탁월하며, 러시아에 대해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을 지녔다는 평가가 있다.

한러관계가 어려운 시국에 현안에 밝은 안정적인 인사를 보내 관계를 관리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