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이시바, 한일 우호 상징 이수현씨 묘 참배…현직 총리 중 처음
"양국이 더 가깝게 지냈으면 좋겠다"…이수현씨 모친과도 인사

X
이수현씨 묘 참배하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손형주 기자]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박상현 특파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30일 한일 정상회담 전 양국 우호의 상징적 인물인 '의인' 이수현씨 묘를 찾아 헌화하며 고인의 넋을 위로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오후 3시께 부산 금정구 영락공원에 있는 이수현씨 묘소를 찾았다.

이시바 총리는 헌화와 묵념을 한 뒤 이수현씨 모친인 신윤찬 LSH 아시아 장학회 명예회장과 인사했다.

신 회장은 "앞으로 미래 젊은 세대에는 양국이 가깝게 지낼 수 있는 이웃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이시바 총리에게 인사말을 건넸다.

이시바 총리도 "양국이 더 가깝게 지냈으면 좋겠다"며 "장학회를 운영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다고 신 회장은 전해다.

신 명예회장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일본 총리가 아들의 묘를 찾은 것이 양국 관계에 있어 뜻깊은 일이라 생각한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양국이 앞으로 더욱더 우호적인 관계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직 일본 총리가 이씨 묘소를 찾아 참배한 것은 처음이다.

2010년에는 오카다 가쓰야 일본 외무대신이 이씨 묘소를 찾았고 2018년에는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가 묘소 앞에서 무릎을 꿇고 참배하기도 했다.

X
이수현씨 묘에 놓인 이시바 총리가 헌화한 꽃 [손형주 기자]

이수현 씨는 일본 유학 중이던 2001년 1월 도쿄 신오쿠보역에서 선로에 떨어진 일본인을 구하려다 목숨을 잃었다.

당시 이씨의 소식이 알려지자 일본 언론과 국민들은 그의 용기 있는 행동에 큰 감명을 받았다. 이후 이씨는 한일 우호의 상징적 인물이 됐다.

이씨의 의로운 행동은 그동안 해결되지 않았던 역사 문제로 양국 국민 사이에 형성된 반감을 해소하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후 한일 관계가 악화할 때마다 이씨의 이야기는 양국의 가교 구실을 했다.

일본에서는 매년 이수현씨 기일인 1월 26일에 신오쿠보역에서 추도식이 열린다.

신오쿠보역은 출구가 하나밖에 없으며, 내부 벽면에 이씨의 헌신을 기리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철도회사인 JR동일본은 동판에 "한국인 유학생 이수현 씨, 카메라맨 세키네 시로 씨는 인명을 구하려다 고귀한 목숨을 바쳤다"며 "두 분의 숭고한 정신과 용감한 행동을 영원히 기리고자 여기에 글을 남긴다"고 한국어와 일본어로 적었다.

일본에서는 이씨의 삶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가케하시'도 만들어졌다.

영화는 '이수현 씨가 우리 마음에 남긴 것'을 주제로 제작됐으며 2017년 이후 일본 각지에서 상영됐다. '가케하시'는 한국어로 '가교'를 뜻한다.

이씨의 부모 또한 20년 넘게 한일 관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일본 각계각층이 기부한 자금을 모아 LSH아시아장학회를 설립했다. 그동안 일본에서 유학하는 아시아 학생 1천여명을 지원했다.

신 명예회장은 올해 수교 60주년을 맞아 진행된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에서 3사 중 정사(正使)를 맡기도 했다.

이날 방한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내달 1일 출국한다.

X
이시바 총리가 놓고 간 꽃 바라보는 의인 이수현씨 모친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한일 우호의 상징인 의인 이수현씨 모친인 신윤찬 SLH 아시아장학회 명예회장이 30일 오후 부산 영락공원 이수현씨 묘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놓고 간 꽃을 바라보고 있다. 이날 이시바 총리는 현직 총리 중 처음으로 이수현씨 묘를 참배했다. 2025.9.30 handbrother@yna.co.kr

handbrothe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