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본격 착수
대전시가 KAIST와 손잡고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양자팹)’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시는 23일 KAIST 본원에서 이장우 대전시장과 이광형 KAIST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가 핵심 양자 인프라 조성의 첫발을 내디뎠다.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2031년까지 국비 234억 원, 시비 200억 원, KAIST 자부담 17억 원 등 총 451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국내 양자산업화의 기반이 될 최첨단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본격 착수
시설은 KAIST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건립되며, 2027년 준공 후 KAIST가 운영을 맡는다.
양자 전용 공정에 필요한 필수 장비를 구비해 정밀하고 안정적인 공정 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연구기관·대학 등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운영 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본격 착수
이장우 대전시장은 “개방형 양자팹은 대전이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강력한 발판”이라며 “KAIST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산·학·연이 함께 성장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양자기술을 통한 미래 산업 선점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최근 3년간 양자팹, 양자대학원, 테스트베드,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퀀텀 플랫폼 등 핵심 인프라를 잇따라 유치하며, 국가 양자클러스터 거점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