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불균형 딛고 ‘지방시대’ 연다”


충청남도가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농촌 대개혁과 대전·충남 행정통합 등을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지방자치 모델을 제시했다.

충남도는 1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민선 지방자치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는 김태흠 지사와 역대 도지사, 시장·군수, 주민 대표 등 700여 명이 참석해 30년의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김 지사는 비전 선포에서 “지방소멸과 불균형 발전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충남이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진정한 전환점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 발전 비전으로 ▲농업·농촌 대개혁 ▲탄소중립경제 선도 ▲미래 먹거리 창출 ▲지역 특색 중심 발전 ▲실질적 저출산 대책을 제시했다.

“지방소멸·불균형 딛고 ‘지방시대’ 연다”


농촌 대개혁과 관련해 “지방소멸 문제는 곧 농촌의 문제”라며 “스마트팜 등 청년 일자리를 통해 농촌에 아이 울음소리가 되살아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충남은 내년까지 스마트팜 825만㎡(250만 평)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경제 선도에 대해서는 “전국 석탄발전소 절반이 있는 충남이 가장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며 “2045년까지 52조 원을 투자해 국가 계획보다 5년 빠르게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아산만에 한국판 실리콘밸리 ‘베이밸리 메가시티’를 조성해 반도체·AI 등 첨단 산업을 육성하고,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통해 인구 360만 명의 초광역 경제권을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방소멸·불균형 딛고 ‘지방시대’ 연다”


김 지사는 “모든 지역에 산업단지를 짓는 똑같은 정책으로는 자생력이 생기지 않는다”며 “권역별 맞춤 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내포권을 혁신도시, 서해권을 국제해양관광·에너지 중심지, 남부내륙권을 국방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저출산 해법에 대해서도 “이제는 국가가 아이를 성인 될 때까지 책임져야 한다”며 “충남은 주4일 출근제, 24시간 어린이집 등 부모 돌봄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6년까지 합계출산율 1.0명 회복에 도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 다섯 가지 비전은 충남의 비전이자 대한민국의 미래 전략”이라며 “충남이 선도적으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비전 선포에 앞서 열린 비전토크에는 지역 기업과 청년농, 공직자 등이 참여해 투자환경 개선, 농업 스타트업 육성, 초광역 협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