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왜곡댓글 82% 수동 신고…포털 자동규제 '유명무실'
'지역 혐오' 가장 많아…"플랫폼 책임 강화 필요"
X
5·18 기념재단 [5·18 기념재단 제공]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 관련 뉴스 기사에 달린 왜곡·폄훼 댓글 대부분이 이용자 신고에 의존해 삭제되는 등 포털의 규제 시스템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5·18기념재단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27개 언론사 네이버 뉴스 댓글을 분석한 결과 5·18 왜곡·폄훼성 댓글(신고 대상)은 총 7천93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클린봇 자동 필터링은 673건(8.48%), 작성자 자진 삭제 669건(8.43%), 명예훼손 등 게시 중단 46건(0.58%), 운영규정 미준수 삭제 10건(0.13%)에 그쳤다.
나머지 6천536건(82.38%)은 모두 수동 신고에 따른 조치로 플랫폼의 자동 규제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댓글 유형별로는 '지역혐오' 2천967건(37.4%)과 '가짜유공자' 1천640건(20.67%)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좌파 비난 860건(10.84%), 무장폭동 804건(10.13%), 오월정신 폄훼 640건(8.07%), 북한군 개입 349건(4.4%) 순이다.
특히 지역혐오·가짜유공자·좌파 비난·오월정신 폄훼 등 특정 집단을 비하하거나 가치를 훼손하는 유형은 전체의 76.98%에 달해 역사적 사실 자체를 부정하기보다는 정당성과 가치를 공격하는 형태가 주를 이뤘다.
댓글 작성자 5천321명 가운데 상위 20명이 1인당 평균 16.5건을 작성해 전체의 4.16%를 차지했으며 특정 표현을 반복적으로 게시하는 이용자도 다수 확인됐다.
5·18기념재단과 민언련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5일 국회에서 '5·18 언론 포털 모니터링 및 정책대안 연구 결과 발표·토론회'를 열고 왜곡·폄훼 표현 실태와 플랫폼의 책임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신태섭 민언련 공동대표는 "온라인 공간과 극우 미디어에서 기승을 부리는 역사 왜곡·폄훼를 바로잡는 플랫폼 책임 제도화, 시민대응 체계 마련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X
5·18 언론 포털 모니터링 및 정책대안 연구 결과 발표·토론회 포스터 [5·18기념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